빈 미술 아카데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미술 아카데미는 1692년 설립된 오스트리아의 미술 아카데미로, 초기에는 사립 아카데미로 시작하여 황실의 지원을 받으며 성장했다. 1725년 황실 아카데미로 재건된 후, 1877년 현재 위치에 새로운 건물을 완공했으며, 1998년에는 대학 지위를 얻었다. 아돌프 히틀러가 입학에 실패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유대인과 반체제 인사를 탄압하는 등 역사적 논란도 존재한다. 현재는 미술 연구소, 미술 이론 및 문화 연구소 등 다양한 연구소와 학부를 운영하며, 회화관, 판화소묘관 등 다양한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미술 학교 - 빈 응용예술대학교
빈 응용예술대학교는 1867년 빈 공예학교에서 시작하여 유명 예술가들을 배출하고 고등교육기관과 대학 지위를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개명되었으며, 다양한 학위 과정, 활발한 전시 활동, 표현의 자유를 특징으로 하는 오스트리아의 응용예술 대학교이다. - 빈의 대학교 - 빈 대학교
빈 대학교는 1365년 설립된 오스트리아 최고(最古)의 대규모 대학으로, 15개 학부와 5개 센터에서 다양한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인문·사회과학, 수학 분야에서 높은 명성을 얻고 여러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 빈의 대학교 - 빈 응용예술대학교
빈 응용예술대학교는 1867년 빈 공예학교에서 시작하여 유명 예술가들을 배출하고 고등교육기관과 대학 지위를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개명되었으며, 다양한 학위 과정, 활발한 전시 활동, 표현의 자유를 특징으로 하는 오스트리아의 응용예술 대학교이다.
빈 미술 아카데미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Wien |
설립일 | 1692년 |
유형 | 공립 |
총장 | 요한 프레데리크 하르틀레 |
위치 | 빈 |
국가 | 오스트리아 |
학생 수 | 1,268명 (2010년) |
웹사이트 | akbild.ac.at |
대학 설치 연도 | 1998년 |
학교 종류 | 미술 |
학교 약칭 | Akbild |
이미지 | |
![]() | |
![]() | |
![]() | |
학부 | |
학부 목록 | 미술 학부 보존·복원 학부 미술 교육 학부 미술·건축 학부 미술 이론 학부 아트 테크놀로지 학부 |
연구과 | |
연구과 목록 | 미술 평론 연구과 (석사 과정) 철학 연구과 공학 연구과 이학 연구과 (박사 과정) |
2. 역사
빈 미술 아카데미는 1688년 궁정 화가 페터 슈트루델(Peter Strudel)이 산 루카 아카데미아(Accademia di San Luca)와 파리 회화 조각 아카데미(Académie de peinture et de sculpture)를 본떠 설립한 사립 아카데미였다. 슈트루델은 '우리 아카데미의 총장(Praefectus Academiae Nostrae)'으로 불렸으며, 170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1세에게서 '프라이헤어(Freiherr)'(남작) 작위를 받았으나, 1714년 그가 사망하면서 아카데미는 일시 폐쇄되었다.[1]
19세기까지 여러 차례 개혁, 통합, 확장을 거치며 발전했으며, 20세기 초 아돌프 히틀러가 입학에 실패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thumb
현재 빈 미술 아카데미는 학생 약 900명 중 4분의 1이 유학생인 국제적인 학교이다. 페터 슬로터다이크(Peter Sloterdijk) 등 개성 있는 교수진이 있으며, 도서관은 11만 권의 장서와 오스트리아 최대 규모인 15만 점의 도면을 보유하고 있다.
2. 1. 설립 초기 (17세기-18세기)
산 루카 아카데미아(Accademia di San Luca)와 파리의 회화 조각 아카데미(Académie de peinture et de sculpture)를 모델로 하여, 1692년 궁정 화가였던 페터 슈트루델(Peter Strudel)이 사립 아카데미를 설립하였다. 1701년 슈트루델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1세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았다. 그러나 1714년 슈트루델이 사망하면서 아카데미는 일시적으로 문을 닫았다.[1]1725년 1월 20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6세는 프랑스인 야코프 판 슈펜(Jacob van Schuppen)을 총장 겸 학장으로 임명하고, '황실 궁정 화가, 조각가 및 건축술 아카데미(k.k. Hofakademie der Maler, Bildhauer und Baukunst)'로 재건립하였다. 1740년 카를 6세가 사망하자 아카데미는 한때 쇠퇴했지만, 1751년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의 통치 기간 동안 새로운 규정에 따라 개혁되었다. 미켈란젤로 운터베르거(Michelangelo Unterberger)와 파울 트로거(Paul Troger) 학장 재임 기간 동안 아카데미의 명성은 높아졌고, 1767년 마리아 안나 대공녀와 마리아 카롤리나 대공녀가 명예 회원으로 임명되었다.
1772년에는 조직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 카우니츠 총리는 기존의 모든 미술 아카데미를 '황실 통합 미술 아카데미(k.k. vereinigten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로 통합하였다. '통합된(vereinigten)'이라는 단어는 나중에 삭제되었다. 1776년, 판화가 야코프 마티아스 슈무처(Jakob Matthias Schmutzer)가 판화 학교를 설립했다.
2. 2. 발전과 확장 (19세기)
1822년, 명예 회원 안톤 프란츠 데 파울라 그라프 람베르크-슈프린젠슈타인(Anton Franz de Paula Graf Lamberg-Sprinzenstein)이 유증으로 미술관을 크게 확장했다. 그의 컬렉션은 현재 전시되고 있는 미술품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2]
1872년, 프란츠 요제프 1세(Franz Joseph I of Austria) 황제는 아카데미를 최고 미술 행정 기관으로 하는 규정을 승인했다. 링슈트라세(Ringstraße) 대로 정비 과정에서 테오필 한센(Theophil Hansen)이 설계한 계획에 따라 새로운 건물이 건설되었다.[3] 1877년 4월 3일, 현재 빈 내부 시가지(Innere Stadt)의 쉴러 광장(Schillerplatz)에 있는 건물이 개관되었고, 안셀름 파이어바흐(Anselm Feuerbach)의 천장 프레스코화를 포함한 내부 공사는 1892년까지 계속되었다.
2. 3. 근현대 (20세기-현재)
1907년과 1908년, 아돌프 히틀러는 빈 미술 아카데미 입학 시험에 두 차례 응시했지만 모두 불합격했다.[4] 히틀러는 화가의 꿈을 포기하지 않고 빈에 머물며 고아 수당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그림을 그렸으나, 결국 가난에 시달리다 1913년 뮌헨으로 떠났다.[4]1938년부터 1945년까지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합병되면서, 빈 미술 아카데미는 유대인과 나치 인종법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교직원과 학생 명단에서 강제로 제외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5년, 아카데미는 재건되었고 자치권을 다시 확인받았다.[5] 나치 부역 혐의로 해임된 에두아르트 폰 요슈(Eduard von Josch)의 사례처럼, 나치 협력자들에 대한 청산 작업도 이루어졌다.[5]
1998년, 빈 미술 아카데미는 대학 지위를 획득했지만, "대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원래 이름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오스트리아에서 유일한 사례이다.
3. 조직
빈 미술 아카데미는 순수 미술, 미술 이론, 미술 복구, 미술 기술, 교육, 건축 등의 학회와 미술, 미술 이론 및 문화 연구, 보존 및 복원, 미술의 자연과학 및 기술, 중등교육 학위, 미술 및 건축 연구소 등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6]
현재 약 9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그중 약 1/4은 외국인 학생이다. 교수진에는 페터 슐로터다이크와 같은 저명한 인사들이 포함되어 있다. 도서관에는 약 11만 권의 장서가 있으며, "판화 캐비닛"(''Kupferstichkabinett'')에는 약 15만 점의 그림과 판화가 소장되어 있다. 이 소장품은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이며, 학술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일부는 일반 대중에게도 공개된다.
3. 1. 연구소
빈 미술 아카데미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소가 있다.[6]- '''미술 연구소 (Institute for Fine Arts):''' 13개 학과
- 추상회화
- 미술과 디지털 미디어
- 미술과 사진
- 미술과 연구
- 개념미술
- 맥락적 회화
- 확장된 회화 공간
- 구상회화
- 그래픽 아트와 판화 기법
- 오브제 조각
- 퍼포먼스 아트 – 조각
- 비디오 및 비디오 설치
- 텍스트 조각
- '''미술 이론 및 문화 연구소 (Institute for Art Theory and Cultural Studies):''' 미술 이론, 철학, 역사
- '''보존 및 복원 연구소 (Institute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 '''미술의 자연과학 및 기술 연구소 (Institute for Natural Sciences and Technologies in Art)'''
- '''중등교육 학위 연구소 (Institute for Secondary School Teaching Degrees):''' 공예, 디자인, 섬유 예술
- '''미술 및 건축 연구소 (Institute for Art and Architecture)'''
3. 2. 학부 (일본어 문서 기준)
빈 미술 아카데미는 다음과 같은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6]4. 캠퍼스
빈 미술 아카데미는 여러 캠퍼스를 두고 있다.
위치 | 주소 | 설명 |
---|---|---|
쉴러 광장 | 비엔나 1010, Schillerplatz 3 | 본교 |
아틀리에 하우스 | 비엔나 1060, Lehargasse 8 | |
조각 아틀리에 | 비엔나 1020, Kurzbauergasse 9 | |
카를 샤이호퍼 가세 | 비엔나 1070, Karl-Scheighofer-Gasse 3 | |
아우가세 | 비엔나 1090, Augasse 2-6 |
1871년 빈 시의 링슈트라세(Ringstraße) 건설과 관련하여 아카데미 교사 신축이 승인되었고, 1200000Gulden가 투입된 공사 끝에 1877년 4월 1일부터 빈 1구의 쉴러 광장에 본부가 설치되었다. 1877년 4월 3일, 프란츠 요제프 1세 앞에서 새로운 건물이 공식적으로 개관하였다.
아카데미 건물은 4층 건물로,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돌출된 부분이 있었다. 강당 천장화는 안젤름 파이어바흐의 작품이다.
2019년부터 2021년 중반까지 3년 반 동안 약 7000만유로를 들여 대규모 개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
5. 컬렉션
'''회화관 (''Gemäldegalerie'')''':히에로니무스 보스의 『최후의 심판』을 비롯하여, 루카스 크라나흐의 『루크레티아』, 렘브란트, 피터 폴 루벤스, 티치아노,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조반니 안토니오 과르디 등, 14~15세기 이탈리아 초기 패널화부터 18~19세기 초 아카데미 주변의 회화까지 약 1600점의 회화가 소장·전시되고 있다.
'''판화소묘관 (Kupferstichkabinett)''':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그래픽 아트 컬렉션 중 하나이다.
'''조각관 (''Glyptothek'')''':역사적인 석고 모델 컬렉션 중 약 450점이 현재도 남아 있으며, 빈 미술 아카데미에서 전시되고 있다.
6. 동문
이름 | 생몰년 | 출신국 | 비고・출전 | 작품 예시 |
---|---|---|---|---|
마르틴 판 마이텐스 | 1695-1770 | 네덜란드nl | 교장(1759- ) | rowspan="107"| |
파울 트로거 | 1698-1762 | 오스트리아 | 교장(1754- ) | |
안톤 폰 마론 | 1733-1808 | 오스트리아 | 학생(1741- ) | |
후베르트 마울러 | 1738-1818 | 오스트리아 | 교수(1785- ) | |
안톤 히켈 | 1745-1798 | 체코cs | 학생 | |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프위거 | 1751-1818 | 독일 | 교장(1795- ) | |
바바라 크라프트 | 1764-1825 | 오스트리아 | 회원(1736- ) | |
요한 프리드리히 마테이 | 1777-1845 | 독일 | 학생(1790년대) | |
카를 루스 | 1779-1843 | 오스트리아 | 학생 | |
페르디난트 야게만 | 1780-1820 | 독일 | 학생(1800년경- ) | |
요한 페터 크라프트 | 1780-1856 | 독일 | 학생(1799- ) | |
요제프 카를 슈틸러 | 1781-1858 | 독일 | 학생(1802- ) | |
프란츠 프포르 | 1788-1812 | 독일 | 학생(1805- ) | |
하인리히 라인홀트 | 1788-1825 | 독일 | 학생(1806- ) | |
루트비히 페르디난트 슈놀 폰 카롤스펠트 | 1788-1853 | 독일 | ||
요한 프리드리히 오베르베크 | 1789-1869 | 독일 | 학생(1806- ) | |
모리츠 미하엘 다핀거 | 1790-1849 | 오스트리아 | 학생(1800년경- ) | |
프리드리히 폰 올리비에 | 1791-1859 | 오스트리아 | 학생(1811년경- ) | |
마르코 카로이 | 1791-1860 | 헝가리 | 학생(1820년경- ) | |
토마스 엔델 | 1793-1875 | 오스트리아 | 학생(1810년경- ) | |
요한 엔델 | 1793-1854 | 오스트리아 | 학생(1810년경- ) | |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발트뮐러 | 1793-1865 | 오스트리아 | 학생(1807- ) | |
율리우스 슈놀 폰 카롤스펠트 | 1794-1872 | 오스트리아 | 학생(1811년경- ) | |
페터 펜디 | 1796-1842 | 오스트리아 | 학생(1809- ) | |
레오폴트 쿠퍼비저 | 1796-1842 | 오스트리아 | 교수(1837- ) | |
요제프 폰 프위리히 | 1800-1876 | 오스트리아 | 교수(1838- ) | |
요제프 크리후버 | 1800-1876 | 오스트리아 | ||
미켈란젤로 그리골레티 | 1801-1870 | 이탈리아 | 회원 | |
프리드리히 폰 아마링 | 1803-1887 | 오스트리아 | 학생(1815- ) | |
모리츠 폰 슈빈트 | 1804-1871 | 오스트리아 | 학생(1821- ) | |
요한 네포무크 가이거 | 1805-1880 | 오스트리아 | 교수(1853- ) | |
요제프 단하우저 | 1805-1845 | 오스트리아 | 교수(1841- ) | |
크리스티안 루벤 | 1805-1875 | 독일 | 교장(1852- ) | |
안톤 할팅거 | 1806-1890 | 헝가리 | 회원(1859- ) | |
빌헬름 린덴슈미트 (아버지) | 1806-1848 | 독일 | 학생(1824- ) | |
프란츠 아이블 | 1806-1880 | 오스트리아 | 학생(1816- ) | |
프리드리히 가우어만 | 1807-1862 | 오스트리아 | 학생(1822- ) | |
알베르트 짐머만 | 1808-1888 | 독일 | 교수(1860년경- ) | |
에드바르트 폰 슈타인레 | 1810-1886 | 오스트리아 | 학생( ) | |
바라바슈 미클로슈 | 1810-1896 | 헝가리 | 학생(1829- ) | |
카타리나 이바노비치 | 1811-1882 | 세르비아 | 학생(1842년경- ) | |
카를 라를 | 1812-1865 | 오스트리아 | 학생(1830년경- ) | |
루돌프 폰 알트 | 1812-1905 | 오스트리아 | 학생(1825년경- ) | |
카를 폰 블라스 | 1815-1894 | 오스트리아 | 교수(1851- ) | |
샤를-에두아르 부티봉 | 1816-1897 | 프랑스 | 학생 | |
에두아르트 폰 엔겔트 | 1818-1897 | 독일 | 교수(1865년경- ) | |
게오르크 데커 | 1818-1894 | 독일 | 학생(1840년대) | |
에두아르트 카이저 | 1820-1895 | 오스트리아 | 학생 | |
카를 신들러 | 1821-1842 | 오스트리아 | 학생(1836-) | |
아우구스트 폰 페텐코펜 | 1822-1889 | 오스트리아 | 학생(1834-) | |
마르코 카로이 (아들) | 1822-1891 | 헝가리 | 학생 | |
카를 게벨 (화가) | 1824-1899 | 오스트리아 | 학생(1840년경- ) | |
요제프 마티아스 트렌크발트 | 1824-1897 | 체코cs | 교수(1872- ) | |
탄 몰 | 1828-1899 | 헝가리 | 학생(1850년경- ) | |
안젤름 포이어바흐 (화가) | 1829-1880 | 독일 | 교수(1873-1877) | |
한스 카논 | 1829-1885 | 오스트리아 | 학생(1845년경- ) | |
안톤 로마코 | 1832-1889 | 체코cs | 학생(1847- ) | |
레오폴트 카를 뮐러 | 1834-1892 | 오스트리아 | 교장(1890- ) | |
세케이 베르탈란 | 1835-1910 | 폴란드 | 학생(1851- ) | |
에밀 라우퍼 | 1837-1909 | 체코cs | 학생 | |
얀 마테이코 | 1838-1893 | 폴란드 | 학생(1859- ) | |
알렉산더 폰 바그너 | 1838-1919 | 헝가리 | 학생(1854- ) | |
고트프리트 린다우어 | 1839-1926 | 체코cs | 학생(1855년경- ) | |
크리스티안 그리펜켈 | 1839-1916 | 독일 | 교수(1874- ) | |
한스 마카르트 | 1840-1884 | 오스트리아 | 교수(1879- ) | |
하인리히 폰 안겔리 | 1840-1925 | 오스트리아 | 학생(1855년경- ) | |
가브리엘 폰 막스 | 1840-1915 | 체코cs | 학생(1858- ) | |
에밀 야코프 신들러 | 1842-1892 | 오스트리아 | 학생(1860- ) | |
문카치 미하이 | 1844-1900 | 헝가리 | 학생(1864년경- ) | |
오이겐 예텔 | 1845-1901 | 체코cs | 학생(1860- ) | |
파울 라슬로 | 1846-1879 | 헝가리 | 학생(1866년경- ) | |
구스타프 베르트하이머 | 1847-1902 | 오스트리아 | 학생(1865년경- ) | |
이지도르 카우프만 | 1853-1921 | 헝가리 | 학생(1880년경-) | |
펠리시안 밀바흐 | 1853-1940 | 오스트리아 | 학생(1871년경-) | |
샤를 빌다 | 1854-1907 | 오스트리아 | 학생 | |
보이치에흐 히나이스 | 1854-1925 | 체코cs | 학생(1870-) | |
루트비히 도이치 | 1855-1935 | 오스트리아 | 학생(1875-) | |
파울 메르바르 | 1855-1902 | 우크라이나 | 학생(1870년대) | |
로베르트 페체르베르거 | 1856-1930 | 오스트리아 | 학생(1874-) | |
우로슈 프레디치 | 1857-1953 | 세르비아 | 학생(1876년경- ) | |
루돌프 스보보다 | 1859-1914 | 오스트리아 | 학생(1878- ) | |
아돌프 히레미-히르슐 | 1860-1933 | 헝가리 | 학생(1874- ) | |
안톤 아즈베 | 1862-1905 | 슬로베니아 | 학생(1882- ) | |
하인리히 크닐 | 1862-1944 | 세르비아 | 학생(1880년경- ) | |
프란티셰크 드보르자크 | 1862-1927 | 체코cs | 학생(1880년경- ) | |
지몬 글뤼크리히 | 1863-1943 | 독일 | 학생(1880- ) | |
알프레트 로러 | 1864-1935 | 체코cs | 학생(1884- ) | |
레오폴트 슈무츠러 | 1864-1940 | 체코cs | 학생(1880- ) | |
벤체슬라프 체르니 | 1865-1936 | 체코cs | 학생 | |
프란츠 폰 바이로스 | 1866-1924 | 크로아티아 | 학생(1884- ) | |
루트비히 코흐 (화가) | 1866-1934 | 오스트리아 | 학생(1883- ) | |
막시밀리안 쿠르츠바일 | 1867-1916 | 체코cs | 학생(1885- ) | |
콜로만 모저 | 1868-1918 | 오스트리아 | 학생(1885- ) | |
카를 메디츠 | 1868-1945 | 오스트리아 | 학생 | |
유제프 메호페르 | 1869-1946 | 폴란드 | 학생(1890년경- ) | |
마테이 스텔렌 | 1870-1949 | 슬로베니아 | 학생(1893년경- ) | |
프란티셰크 쿠프카 | 1871-1957 | 체코cs | 학생(1900년경- ) | |
라파엘 키르히너 | 1875-1917 | 오스트리아 | 학생 | |
코벨 레오 | 1876-1931 | 헝가리 | 학생 | |
리히트하르트 게르스톨 | 1883-1908 | 오스트리아 | 학생(1898년경- ) | |
프리츠 슈바르츠-발데크 | 1889-1942 | 오스트리아 | 학생 | |
에곤 실레 | 1890-1918 | 오스트리아 | 학생(1908년경- ) | |
마리아 라스니크 | 1919-2014 | 오스트리아 | 학생(1940년경- ) | |
R. B. 키타이 | 1932-2007 | 미국 | 학생(1950년경- ) | |
미하엘 쿠덴호프-카렐레르기 | 1937- | 오스트리아 | 학생 | |
고트프리트 헬른바인 | 1948- | 오스트리아 | 학생 | |
타나카 이사오키 | 1975- | 일본 | 학생(1998) | |
- 에곤 실레
- 한스 홀레인
- 에르빈 부름
- 마리아 안반더
- 알로이스 아르네거
- 요아니스 아브라미디스
- 윌리엄 버치
- 아모아코 보아포
- 베른하르트 첼라
- 게오르크 데커
- 루트비히 도이치
- 나오미 데빌
- 헬무트 디치
- 칼 둘디히
- 슬라바 둘디히
- 조지 듀리
- 안토닌 엔겔
- 요제프 플렉
- 리하르트 가흐
- 빅터 그루엔
- 시구르뒤르 구드욘손
- 헬무트 그래프
- 앨리스 버거 해머슐라그
- 세실 반 하넨
- 고트프리트 헬른바인
- 볼프강 홀레가
- 한스 홀라인
- 알프레드 후르들리치카
- 코넬리아 제임스[8]
- 파야 요바노비치
- 에스터 카탈린
- 고트프리트 린다우어
- 프란츠 크사버 메서슈미트
- 베라 네드코바
- 어니스트 플리슈케[9]
- 우로시 프레디치
- 하인리히 라우칭거
- 콘스탄틴 다니엘 로젠탈
- 루돌프 마이클 쉰들러
- 오트마르 쉼코비츠
- 프리지에슈 슐렉
- 테오도어 소클
- 빌리 소쿠프
- 히토 스타이어르
- 카트린 리아 태그
- 오토 바그너
- 야코프 바이덴만
- 어윈 웜
- 브루노 자흐
=== 기타 학생 및 교수 ===
- 칼 아이겐 (1684–1762), 학생, 학장, 교수
- 오즈 알모그 (1956년생)
- 알로이스 아르네거 (1879–1963)
- 요아니스 아브라미디스 (1922–2016)
- 페터 베렌스 (1868–1940)
- 자베트 부흐만 (1962년생)
- 멘치 클레멘트 크르치치 (1865–1930)
- 콘스탄틴 다닐 (1802–1873)
- 사이드 다노시안 (1979–1985)
- 디드리히 디데리히센 (1957년생)
- 안드레아 마리아 두슬 (1961년생)
- 토마스 엔더 (1793–1875)
- 하룬 파로키 (1944–2014)
- 안젤름 포이어바흐 (1829–1880), 교수 (1873)
- 에밀 푸흐스 (1866–1929)
- 어니스트 푸흐스 (1930–2015)
- 페터 요한 네포묵 가이거 (1805–1880), 교수
- 리하르트 게르슈틀 (1883–1908)
- 에드윈 그리에나우어 (1893–1964)
- 고트프리트 헬른바인 (1948년생)
- 에프. 스콧 헤스 (1955년생)
-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 (1886–1983)
- 프리덴스라이히 훈데르트바서 (1928–2000)
- 리 화중국어
- 그레타 켐프턴 (1901–1991)
- 안톤 렘덴 (1929–2018)
- 막시밀리안 리벤바인 (1869–1926)
- 레오폴트 마츠알 (1890–1956)
- 프란츠 안톤 마울베르슈 (1724–1796)
- 루트비히 메르바르트 (1913–1979)
- 요제프 뫼스머 (1780–1845)
- 카스파르 네허 (1897–1962)
- 구스타프 파이흘 (1928–2019)
- 엘마르 파인트너 (1954년생)[10]
- 아우구스트 폰 페텐코펜 (1822–1889)
- 요한 게오르크 플라처 (1704–1761)
- 롤란트 라이너 (1910–2004)
- 다니엘 리히터 (1962년생)
- 루돌프 슈바르츠 (1840–1912)
- 로베르트 세들라체크 (1881–1957)
- 나스린 세라지 (1957년생)
- 타무나 시르빌라제 (1971–2016)
- 히토 스타이어르 (1966년생)
- 파울 트로거 (1698–1762)
- 노르베르트 트롤러 (1900–1984)
- 루돌프 폰 알트 (1812–1905)
- 프리드리히 폰 슈미트 (1825–1891)
- 헨리크 베버 (1818–1866)
- 쿠르트 바이스 (1895–1966)
- 알베르트 짐머만 (1808–1888)
- 티모 펜틸래 (1931–2011)
- 허버트 스마곤 (1927-2007)
빈 미술 아카데미 화가 목록 참조.
7. 빈 미술 아카데미와 관련된 논란
빈 미술 아카데미에는 아돌프 히틀러의 입학 거부와 나치 시대의 유대인 및 반체제 인사 탄압과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1907년과 1908년 두 차례에 걸쳐 아돌프 히틀러의 입학을 거부하였고,[4] 1938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에 의해 오스트리아가 합병(안슐루스)된 기간 동안에는 유대인과 뉘른베르크법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강제로 제외하였다.[5]
7. 1. 아돌프 히틀러의 입학 실패
1907년과 1908년, 린츠 출신의 젊은 아돌프 히틀러는 빈 미술 아카데미의 드로잉 수업 입학을 두 차례 거부당했다.[4] 히틀러는 빈에 머물면서 고아 수당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화가로서의 직업을 이어가려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곧 빈곤에 빠진 그는 수입을 위해 주로 수채화를 팔다가 1913년 5월 뮌헨으로 떠났다. (아돌프 히틀러의 그림 참조)[4]이름 | 생몰년도 | 출신국 | 비고 |
---|---|---|---|
아돌프 히틀러 | 1889-1945 | 오스트리아 | 독일의 정치가 |
7. 2. 나치 시대의 유대인 및 반체제 인사 탄압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에 합병(안슐루스)된 기간 동안, 빈 미술 아카데미는 다른 오스트리아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교직원과 학생 명단에서 유대인과 뉘른베르크법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강제로 제외해야 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5년에 아카데미는 재건되었고 자치권이 재확인되었다. 아카데미 서기관 에두아르트 폰 요슈(Eduard von Josch)는 나치당 당원이었다는 이유로 해임되었다.[5]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Vienna Academy of Fine Arts
https://www.akbild.a[...]
Academy of Fine Arts Vienna
2021-05-24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rt collection
https://www.akbild.a[...]
[3]
웹사이트
Academy of Fine Arts, Picture Gallery
https://www.wien.inf[...]
2024-01-11
[4]
웹사이트
When Hitler Tried (and Failed) to Be an Artist
https://www.history.[...]
2021-02-24
[5]
서적
Die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Wien im Nationalsozialismus : Lehrende, Studierende und Verwaltungspersonal
http://ns-zeit.akbil[...]
Böhlau Verlag
2021-05-02
[6]
웹사이트
Institutes
https://www.akbild.a[...]
Academy of Fine Arts Vienna
2014-11-27
[7]
웹사이트
Departments
http://www.akbild.ac[...]
[8]
뉴스
Gloves Fit for a Queen, With Hands-On Craftsmanship
https://www.nytimes.[...]
2014-11-23
[9]
웹사이트
Plischke, Ernst Anton
https://teara.govt.n[...]
2023-04-27
[10]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ww.peintner[...]
Elmar Peintner
2023-03-08
[11]
웹인용
Hitler as Artist
https://www.newyorke[...]
2023-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